반응형 [알고리즘 + 자료구조]/[백준]214 [BaekJoon/백준] 1193번 내가 수학을 못한다는 결정적인 증거로, 나는 수학 관련 코딩 문제에 따라 풀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성과도 매우 들쑥날쑥하다. 이번 1193번은 왠지모르게 너무 어려웠다. 나는 이런 '공식을 찾고 코딩화' 하는 부류의 수학 관련 문제들을 풀 때마다 애를 먹는다. 원래같으면 지저분하게라도 코딩하겠지만, 최대한 지저분하지 않고 일관성있고 체계적인 코드 흐름으로 구성해보려 하다 보니까, 내 머리가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그러다 보니 문제를 푸는 시간이 질질 끌리게 된다. 해당 문제는 처음 볼때는 되게 쉬워보였는데, 역시나 내 머리를 너무 과대평가 하고 있었다. 어떻게 하면 최대한 잘 코드를 짤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그리고 간단한 규칙이 분명히 있을거라는 생각속에서 코딩을 했는데 결국 결과는 지저분한 코드들의.. 2020. 9. 10. [BaekJoon/백준] 2292번 해당 문제는 수열과 관련된 문제이다. 나는 수학을 정말 못하는구나를 다시금 느꼈다. 규칙을 찾아서 식을 만들기만 하면 되는데, 식을 세우는 데에 있어서 변수가 조금이라도 생기면 머리가 하얘진다..그래서 시간이 좀 걸렸다. 최소한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 1을 기준으로 감싸는 각 줄을 이동하는 경우. 따라서 각 줄마다 늘어나는 숫자에 대한 공식을 구현하면 된다. 1. 벌집에서 1을 기준으로 바깥을 감싸는 줄의 숫자의 갯수를 구한다. 첫째줄(=1 자신)은 1개, 둘째 줄은 6개, 셋째 줄은 12개... 그리고 식으로 도출해보면, -> 6(n-1) (n>1, n=1일땐 1) 이라는 식이 나온다. 2. 위 식을 참고하여 이번엔 각 줄까지 포함되는 수를 구한다. (n = x일때 몇 까지의 수가 벌집을 감싸는지) n.. 2020. 9. 9. [BaekJoon/백준] 2839번 해당 문제는 3x + 2y = c 에서 c 값이 주어졌을 때 x+y의 최소값을 구하라는 문제이다. 나는 이 문제를 코드로 구현하는데 있어서 모든 해를 구한 뒤에 x+y의 최소를 가려내는 식으로 다소 복잡한 방식으로 코딩을 했는데, 다른 고수 분께서는 이런 불필요한 과정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되게 간결하며 수월한 방법으로 푸셔서 두 코드를 비교하며 공부해 보려고 한다. 아래는 지저분한 내 코드이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ug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 2020. 9. 8. [BaekJoon/백준] 1712번 9단계 "수학"을 묶어서 한 게시글에 쓰려고 했으나.. 제가 수학을 정말 지지리 못하는 관계로 한 문제 한 문제가 힘겹기에 따로 게시글을 씁니다. 해당 문제는 자바로 풀었습니다. 해당 1712번 문제는 '손익분기점'을 구하라는 문제였다. 일단 9단계 "수학" 이라는 명칭부터가 수포자인 나로서는 굉장히 두려움으로 다가왔는데, 역시나 첫번째 문제부터 '손익분기점'이라는 용어가 나왔다.. 어떻게 보면 문제 자체는 쉽게 보일 수 있으나 메모리와 시간제한 싸움인 문제이다. 문제에서 "A, B, C는 21억 이하의 자연수이다." 라는 말과, 이 자연수 들을 담을 수 있는 int 자료형으로는 연산하기에 정말 매우 부족하다. 만약 a나 b가 정말 20억대 숫자라면, 연산을 2만 해도 바로 int형 크기를 초과해버린다... 2020. 9. 8.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