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리즘 + 자료구조]/[백준]214 [BaekJoon/백준] 1011번 풀이 멀고도 험했던 1011번. 내가 다양한 코딩문제를 보면서 이렇게나 정신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소모가 많았던 것은 처음이였다. 말 그대로 벽을 느꼈다. 그것도 엄청나게 높은 벽.... 뭔가 내가 해결할 수 있을 거라는 엄두가 나지 않는 벽 말이다. 아직도 나는 수학울렁증이 있는 것 같다. 아니 수학 기피증도 있는게 확실하다.. 문제를 읽다가 수학적인 말이 나오면 잠시 딴생각에 빠진다. 그리고 정신차리면 문제를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하는 상황. 정말 몹쓸 짓이다. 문제를 읽는데 이번에는 규칙을 찾기 위해 숫자를 나열하는 데에도 엄청나게 틀려댔다. 횟수에 따른 규칙을 찾으려고 나열을 하는데도 돌아보면 틀리는 것이다. 그냥 수학적 머리가 아예 없나보다. 집중도 못하는 것 같고. 여튼 공식을 내리다보면 또 숫자들 .. 2020. 9. 18. [BaekJoon/백준] 2775번 팩토리얼에 관한 문제였다. 주어진 입력 크기의 인자의 최대 크기가 14, 14 길래. 값이 작으므로 그냥 배열 안에 미리 값을 만들어 놓고 사용해도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값을 만들어 놓는데 구현할 방법을 포문으로할지 재귀함수로할지 생각했는데 재귀함수가 속도가 느리다 보니 빠르게 포문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new int[15][15]; for(int i=0; i 2020. 9. 15. [BaekJoon/백준] 10250번 숏코딩해 봤다. 500B 나와서 순위권 들 줄 알았는데 전체 1등은 228. 사람이세요? 하고 봤는데 이분은 그냥 변수선언 스캔도 한번에 받고 띄어쓰기 한톨조차 다 없애버렸다 ㅋㅋㅋ 음.. 나는 코드를 올려야 하므로 가독성이 떨어져서 그렇게는 못하겠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T = scanner.nextInt(); for(int i=0; i 01, 9 -> 09). 그리고 두자리 이상부터는 그냥 그대로 출력. 2020. 9. 15. [BaekJoon/백준] 2869번 이 문제 정말 애좀 많이 먹었다. 정말 컴퓨터를 뚫어지게 쳐다보면서 컴퓨터의 잘못을 의심하기까지 했다. 뭐 결과적으로 보면 컴퓨터의 잘못이기도 하지만 컴퓨터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나의 잘못이기도 했다. 무슨말인지는 곧 알게 될 것이다. 달팽이가 V 라는 길이의 나무를 오르는데, 아침에는 A 만큼 올라가고 저녁에는 자는동안 B 까지 떨어진다. 다만 정상까지 오르고 나서는 떨어지지 않는다. 이 때 달팽이가 나무를 다 오르기까지 며칠이 걸리는지를 구하라는 문제다. 그냥 별 생각없이 처음 코딩을 했을 땐 (정답 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 2020. 9. 13.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