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데이터 베이스 종류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종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입니다. 따라서 이것에 대해 잠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Relational Data base) 사전적 정의는 '테이블 내의 컬럼 중 일부를 다른 테이블과 중복해 각 테이블간의 상관관계를 정의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하나의 테이블에서 중복되는 값들을 모아서 새로운 테이블로 만들고, 기존 테이블에서 이 테이블을 참조하는 형식이죠. 정말 간단하게 생각하면 자바의 클래스에 대한 객체 생성과 같은 방식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끼리 참조하는 방식 즉 본래의 데이터 자리에 값 대신 참조변수들을 놓았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테이블에는 참조변수들 안에 들어 있는 객체들에 대해 데이터가 정리되어 있는 것이죠. .. 2020. 9. 5. SQL문 UPDATE, DELETE 이번 글에서는 UPDATE 문과 DELETE 문을 알아보겠습니다. ∙ UPDATE 레코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UPDATE table_name SET column1 = value1, column2 = value2, ... WHERE condition; 예를 들어 사용해보겠습니다. mysql> SELECT * FROM student; +----+--------+------------------+ | id | name | profile | +----+--------+------------------+ | 1 | hevton | Nice to meet you | | 2 | pyro | Yadon | | 3 | steve | hello | +----+--------.. 2020. 9. 5. [Webhacking.kr] 4번 문제풀이 우선 4번은 정말 미친 문제다 ㅋㅋ.. 내 컴퓨터 CPU를 정말 여러모 힘들게 했던 문제다. 이상한 문자가 나열되어 있고, 패스워드를 제출하라고 한다. 우선 이게 뭘까..하고 생각했다. 글자수가 40자리인 걸 보고 바로 SHA-1 암호화인 걸 알아내셨다면, 당신은 어쩌면 '진짜'다.. 잠시 대표적 해시함수들에 대해 길이를 나눠보자면 ∙ md5 해시값 길이 = 128비트 (16진수로 32바이트) ∙ sha-1의 해시값 길이 = 160비트 (16진수로 40바이트) ∙ sha-256의 해시값 길이 = 256비트 (16진수로 64바이트) 위에 문제에서 나온 문자 하나당 16진수의 냄새를 느끼고 길이가 40인걸로 보아 sha-1 해시값이라고 바로 아실 필요는 없다. 왜냐면 문제에서 제공해준다. 어디냐고? 바로 [.. 2020. 9. 5. [Webhacking.kr] 3번 풀이 오늘은 3번을 풀이하면서, 중요한 내용을 알아가겠습니다. 우선 3번을 들어가면 Nonogram 이라는 게임을 풀라고 하는데, 간단합니다. 뭐였더라 예전에 로직이었나 그런 것 처럼 행/열 마다 적힌 수에 해당하는 숫자만큼 공간을 색칠하면 됩니다. 3이면 3칸 연속, 1 1 1 이면 한칸씩 세번 색칠 ( 몇칸씩 띄는지는 상관없음). 이를 토대로 풀어보면 노노그램은 간단히 풀 수 있으실 겁니다. 이렇게 하고 solved 를 누르면 문제가 풀렸다고 기록을 위해 아이디를 입력하라고 하는데 이게 정말 3번을 푼걸 의미하는 건 아니겠죠? 그냥 일단 제 웹해킹 아이디를 입력하고 전송해주었더니, 제 아이디와 숫자 그리고 제 아이피주소가 새로운 창에 기입됩니다. 참고로 1010100000011100101011111 이라는.. 2020. 9. 4. 이전 1 ··· 231 232 233 234 235 236 237 ··· 2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