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ISCO Networking] 라우터, 스위치, 허브의 IP 주소 네트워크 상에서 스위치나 허브에도 IP 주소가 부여됩니다. 장비별로 하나씩요. 이런 스위치나 허브에 IP 주소를 배정하는 이유는 단지 관리를 위한 것입니다. 즉 스위치나 허브에 IP 주소를 배정하지 않아도 통신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장비별로 IP주소가 하나씩 부여되는 이런 장비들과는 달리 라우터는 두 종류의 IP 주소가 부여됩니다. 하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로컬 인터페이스를 위한 IP, 다른 하나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위한 IP 입니다. (각 인터페이스들의 갯수 또한 여러 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네트워크 영역( =브로드캐스트 영역)이 됩니다. (라우터에서 인터페이스가 달라지면 그건 네트워크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컬 인터.. 2020. 9. 9. Git 버전 간 차이점 비교 해당 글에서는 버전 간 차이점을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 메모하겠습니다. 수정한 모든 파일을 git commit을 통해 버전을 만들고 난 후에 ( 워킹트리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 ) hello2.txt 파일 하나를 수정하고, 아래 명령을 입력해줬습니다. git diff 이 명령은, 마지막 버전과 워킹 트리 상태에서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마지막 버전 이후에 어떤 작업을 했는지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diff --git a/hello2.txt b/hello2.txt index c2fadde..3c4914f 100644 --- a/hello2.txt +++ b/hello2.txt @@ -2,3 +2,4 @@ 1 2 3 +4 제가 마지막으로 올려놓은 버전에 hello.. 2020. 9. 9. Webhacking.kr 7번 문제풀이 7번에 들어가서 view-source를 클릭하면 2020. 9. 9. [BaekJoon/백준] 2292번 해당 문제는 수열과 관련된 문제이다. 나는 수학을 정말 못하는구나를 다시금 느꼈다. 규칙을 찾아서 식을 만들기만 하면 되는데, 식을 세우는 데에 있어서 변수가 조금이라도 생기면 머리가 하얘진다..그래서 시간이 좀 걸렸다. 최소한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 1을 기준으로 감싸는 각 줄을 이동하는 경우. 따라서 각 줄마다 늘어나는 숫자에 대한 공식을 구현하면 된다. 1. 벌집에서 1을 기준으로 바깥을 감싸는 줄의 숫자의 갯수를 구한다. 첫째줄(=1 자신)은 1개, 둘째 줄은 6개, 셋째 줄은 12개... 그리고 식으로 도출해보면, -> 6(n-1) (n>1, n=1일땐 1) 이라는 식이 나온다. 2. 위 식을 참고하여 이번엔 각 줄까지 포함되는 수를 구한다. (n = x일때 몇 까지의 수가 벌집을 감싸는지) n.. 2020. 9. 9. 이전 1 ··· 228 229 230 231 232 233 234 ··· 2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