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de.js] Url 파싱 node.js에서 url을 파싱하여 메타데이터(쿼리스트링)을 읽어오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제조건 : 코드 상에서 웹서버가 구현되어 있어야함) // node js의 모듈 중 url 모듈을 사용하겠다. var url = require('url'); // 메타데이터가 queryData에 객체형식으로 담겨지게 됌. var queryData = url.parse(_url, true).query; //_url변수에는 주소가 담겨있음 ex) 'http://site.com/?id=hevton&job=dev' -> queryData = { id: ’hevton’, job: ’dev’ } cosole.log(queryData.id) -> hevton 해당 방법을 웹서버 구축 코드가 적용된 코드에 실습하면 var .. 2020. 9. 29. [JavaScript] Template Literal 여러줄로 이루어진 문자열의 표현과 문자의 치환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var name = 'hevton'; var str = 'name is '+name+'\njob is developer'; //String literal console.log(str); var str = `name is ${name} job is devloper`; //Template literal console.log(str); Output : name is hevton job is developer name is hevton job is devloper ∙ Html의 프리태그 느낌의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String literal 방식보다 변수와 문자열을 합칠 때 훨씬 간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의.. 2020. 9. 29. [Node.js] Node.js 자바스크립트는 기존 웹 브라우저 상에서 노는 클라이언트 측의 언어였다. 이와 대조되는 언어로는 php, jsp 같이 서버측에서 실행되는 Server Side Script라고 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가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언어이므로 클라이언트 범용성이 넓진 않았는데,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Server Side Script의 영역까지 넓힐 수 있는 Node.js 가 등장하면서 자바스크립트의 범용성이 넓어졌다. 서버측과 클라이언트 측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게 일궈 낸 것이다. Node.js란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것이 아니라 Javascript가 서버기반에서도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실행환경(런타임),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Apache같은 웹서버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느낌상 php+웹서버 느낌. 2020. 9. 28. [Webhacking.kr] 19번 1을 넣어본다 로그아웃 안된다. 사이트 에러인듯 싶다ㅜ. 그냥 url값으로 바꿔주며 뭔갈 얻어내야 했다. 일단 이상태로 오면 기존에 없던 쿠키값이 생긴다. YzRjYTQyMzhhMGI5MjM4MjBkY2M1MDlhNmY3NTg0OWI%3D %3D가 있는걸로 보아 현재 문자가 UrlEncoding 되어있는 상태를 미루어 짐작해볼 수 있다. UrlDecoding 해주면 나머지 문자들은 그대로고 %3D만 '='로 바뀌게 된다. YzRjYTQyMzhhMGI5MjM4MjBkY2M1MDlhNmY3NTg0OWI= //UrlDecoding 이후. 대소문자가 구분되어있고, 숫자도 있으며 = 문자도 있는 것을 미루어 Base64 인코딩 방식을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D는 '=' 문자로 base64에서 인코딩 시.. 2020. 9. 28. 이전 1 ··· 214 215 216 217 218 219 220 ··· 2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