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배열 > var h = ['A', 5, true, 5.021]; > console.log(h); [ 'A', 5, true, 5.021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정말 자료형의 구분에 대한 중요도가 없다. 모든 변수를 var로 선언하는 것에 이어, 배열에서도 하나의 배열 안에 다양한 자료형들의 값이 존재해도 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에 따라, 이런 현상들이 뭔가 '편함'의 관점에서는 좋을지 몰라도 '본질'에 대해서는 점점 잃어가는 것이 아닐까 해서 조금 두렵다. 위 방식은 배열의 두가지 생성 방법 중 객체형 방식이 아닌 리터럴 배열 방식의 배열인데도 불구하고, 배열의 크기의 동적 변화도 가능하다. 추가 > h.push('last'); > console.log(h); [ 'A', 5, true, 5.021, 'l.. 2020. 9. 29.
[Node.js] Not found 구현 Node.js로 웹서버를 구현할 때, 특정 파일을 메인 파일로 지정하여 그 파일 안에 웹서버 구축 코드를 작성한다. 페이지에 접속하면 그 파일에 접속하는 것. 루트 경로(웹서버 파일)이 아닌 다른 경로에 접속하려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Not found를 구현해줄 수 있다. 웹서버가 구축되는 js파일안에 // ps. response 변수가 정의되어있어야함. var url = require('url'); var pathname = url.parse(_url, true).pathname; if(pathname==='/') { response.writeHead(200); response.end(보여줄 것); } else { response.writeHead(404); response.end('Not foun.. 2020. 9. 29.
[Node.js] 콘솔에서의 입력 인자 console_input.js 생성 var args = process.argv; console.log(args);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입력 node console_input.js hevton dev 출력 내용 [ '/usr/local/bin/node', '/Users/hevton/Desktop/nodejs/nodejs_syntax/console_input', 'hevton', 'dev' ] 배열의 세번째 인자에서부터 입력한 값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이므로 args[2] 에는 'hevton'이 들어있고, args[3] 에는'dev'가 들어가게 됨을 알 수 있다. 수업의 출처는 opentutorials.org 의 이고잉님이십니다. 감사합니다. 2020. 9. 29.
[Node.js] 파일 읽기 / 쓰기 var fs = require('fs'); fs.readFile('sample.txt', 'utf-8', function(err, data) { //if(err) throw err; 파일이 유효하지 않을 때의 예외처리 console.log(data); //읽은 내용을 콘솔창에 출력하는 예제 }); var fs = require('fs'); fs.writeFile('sample.txt', 'hello', 'utf-8', function(err) { //파일에 저장이 끝난 경우. }); 2020.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