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SpringBoot Kotlin]63 Spring, SpringBoot 란? Spring은 자바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자바 스크립트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프레임워크가 Node.js 가 있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그리고 Spring을 더 쉽게 이용할수있게 해주는 도구가 바로 Spring Boot입니다.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다양한 설정을 직접 해줘야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개발자가 실행환경이나 의존성 관리 등의 인프라 관련 등에 쓰는 에너지가 소요됩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에 조금 더 에너지를 투입할 수 있게 Spring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였고, 많은 개발자들이 현재 Spring Boot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기반.. 2022. 11. 16.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소켓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소켓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ocket io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단하다. "웹 페이지의 한계에서 벗어나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웹 서비스를 만드는 표준 기술인 WebSocket.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실시간 웹 기술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Socket.io" https://d2.naver.com/helloworld/1336 상호작용하는 웹 서비스를 위해 숨겨진 프레임(Hidden Frame)을 이용한 방법이나 Long Polling, Stream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브라우저가 HTTP 요청를 보내고 웹 서버가 이 요청에 대한 HTTP 응답를 보내는 단방향 메세지 교환 '규칙'을 변경하지 않고 구현한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호작용.. 2022. 11. 16. 서버 내에서의 이미지 캐싱 방법 캐싱은 유용하다. 클라이언트 쪽에서도 캐싱을 사용하지만 서버 쪽에서도 캐싱을 사용한다. jpg 파일을 받아온다고 했을 때, 서버쪽에서는 jpg의 엔드포인트를 단순히 example.jpg가 아니라 example.jpg?v=1,2,3... 이런식으로 작업을 해주는데 그 이유는 바로 캐싱때문이다. 캐싱이 진행되었다면, example.jpg 이미지가 변경되었다고 하더라도 변경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예전 캐싱해놓은 이미지를 계속해서 쓸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단에서는 이미지의 엔드포인트를 단순히 example.jpg 이런식으로 제공하지 않고 파라미터를 붙여서 v=1, 2, 3... 이런식으로 버전관리를 해준다. 2022. 11. 16. 이전 1 ···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