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안]139 [LOS] ZOMBIE_ASSASSIN 우선, 내 해석방법 보다 더 이해하기 쉽고 간단한 방법이 있어서 그분 글을 참조..! 문자열에 대해 이런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 같다. 이런 접근이 더 좋은 것 같다. te-ra.tistory.com/19?category=809225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에서 문자열을 받을때는 string값을 주소값에 저장하고 참고하게 되죠. 제일 밖에 ""구분은 문자열에 포함되는값이 아니라 그저 스트링값을 표현하는 구문/방식입니다 -> " ", ' ' 같은 건 코딩상에서 문자열을 표현하기 위한 형식(스트링값을 표현하는 구문)일 뿐 실제 내부 구조에서는 ""으로 문자열을 취급하지 않는 사실을 기반해서 생각하면 된다. 문자열 입력 시 123"은 가능하지만 str = "123"";은 안되는 것이 여기서 비롯. 문자열을 입력하.. 2020. 12. 22. [LOS] SUCCUBUS 이 문제 풀다가 여러 번 사경을 헤맸다.. 두 번의 혼동이 있었다. [ 혼동 1 ] 어찌보면 당연한건데, 다시 깨닫게되었다. 문자열 안으로 감싸져 있는 상태에는 문자들로 보기 때문에 주석문자들 또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 ex) // /* */ 작동안함 String str = "hello/*"*/ // //도 마찬가지. 당연히 문자로 인식하게됨. String str = "hello//" 다른 언어들도 마찬가지. [ 혼동 2 ] 정리한 내용엔 틀린거 없는데, 애초에 질문부분이 잘못되어서 다 선 그어놓음. 그리고 이로인해 헷갈릴 수 있는게, "데이터가 Url Encoding 되어 전송되고 서버에서 Url Decoding되어 데이터를 읽고 사용하는 구조에서, 입력한 값이 문자열 안의 영역으로 삽입되는 경우엔 이.. 2020. 12. 19. [LOS] ASSASSIN 난이도가 좀 올라간 느낌 2020. 12. 18. [ARP/L2/L3/IP/MAC] 헷갈리던 내용 정리 헷갈리던 내용 ( 질문글 ) --------------------------------------------------------------------------------------------------------------- 안녕하세요.. 이거때문에 잠못이룹니다 ㅜㅜ.. A 와 B가 다른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볼 때를 공부하는데 너무 헷갈립니다 ㅜ 본디 통신을 할 때 패킷에 맥주소와 아이피를 함께 보내는 거면, A가 다른 네트워크의 B와 통신할 때 arp 과정 이후에 destination ip는 B의 ip주소, destination mac은 A의 게이트웨이 MAC주소로 보내면 라우터(게이트웨이)는 이 패킷을 받고 Destination ip주소가 자신의 것이 아닌걸 보고 다른 곳으로 경로를 찾아주잖아요.. 2020. 12. 18. 이전 1 2 3 4 5 6 7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