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안]139

[CISCO Networking] 허브 허브 ∙ 허브는 네트워크 구성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 허브는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이 구멍의 개수만큼 장비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몇 포트 허브라고 칭합니다. ∙ 허브는 연결된 모든 피시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시말해 랜카드가 설치된 PC들을 허브에 연결하면다면, 이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PC들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이렇게만 연결하면 외부인터넷으로는 나가진 못합니다.) ∙ 허브 역시 랜카드처럼 이더넷용, 토큰링용으로 나눌 수 있고 또한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와(10Mbps) 패스트 허브(100Mbps)가 존재합니다. 랜카드와 케이블에 맞는 허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허브는 허브끼리 연결하며 더욱 많은 포트와 통신 범위를 가진 .. 2020. 9. 1.
해시(Hash)와 암호화(Encryption) 해시와 암호화 둘다 암호화 기법이지만, Hash는 단방향 암호화 기법이고 Encryption은 양방향 암호화 기법이다. Hash는 암호화만 가능한 것이고, Encryption은 암호화, 복호화가 둘다 가능한 것이다. 대표적인 해시 알고리즘으로는 Md5, SHA-1이 있다. 인코딩을 위의 두 암호화 기법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인코딩은 표현 방법을 바꾸는 것이고 암호화는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인코딩은 아스키코드 A를 십진수 65번으로 표현하는 그런 느낌이다. 대표적인 인코딩 방식은 URL Encoding, Base 64 등이 있다. 2020. 8. 31.
[Webhacking.kr] 1번 (쿠키, 세션 설명) 고등학생 때 웹해킹 워게임을 조금 했던 기억이 있다.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해킹공부를 아예 안한 것 같아서, 까먹은 것도 많고 무뎌진 것도 많을 것 같아서 웹해킹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문제들을 풀어나갈 계획이다. 웹해킹 워게임 사이트는 굉장히 다양한데, 그 중 Webhacking.kr 이 난이도도 꽤 있고 공부하기에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이곳에 다시 접속해봤다. 고등학생 때 쓰던 계정이 이미 있긴 한데 문제들이 어려워서 점수도 950점밖에 없고, 이 시절에 풀었던 문제들도 이제는 못 풀 실력이 되어버려서 아예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 원래 갖고 있던 지식들도 별로 없긴 했지만, 그마저도 다 잊어버린 상태라 아예 웹을 처음 공부한다고 해도 무방한 상태일 것 같아서 걱정이 가득하지만 열심히 풀어보며 공부하려고 .. 2020. 8. 31.
[CISCO Networking] 랜카드 ▶︎ 랜카드 = NIC (Network Interface Card) 랜카드는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어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그리고 FDDI, ATM용 등으로 구분합니다. -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탑용 랜카드와, 노트북용 랜카드 (PCMCIA 방식),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는 외장형 랜카드,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의 랜카드가 있습니다. - 버스(데이터가 날아다니는 길) 방식에 따라 PCI 방식, ISA 방식, EISA 방식으로 나뉘므로, 자신의 PC의 버스 방식에 맞는 것을 설치해야 합니다. - 랜카드에 접속하는 케이블의 종류에.. 2020.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