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자인]/[Figma]18

Figma Color Styles Figma의 Color Styles를 활용하면, 일관성 있는 디자인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편리하여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Selection Colors 버튼을 대강 두개 만들고, 전체를 선택한 뒤에 오른쪽 탭 중 Selection colors 부분을 보면 여기서 쓰인 color 들을 모두 볼 수 있다. Selection colors에서 색상을 바꿔주면 전체 모든 버튼들에 대해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lor Setting Basic 팔레트 기능을 이용해서 다른 색상을 찾아서 가져오거나, 단축키로는 Control + c 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object의 전체 속성을 복사하여 가져올 수도 있다. 이번엔 원을 하나 더 생성했고, Strok.. 2022. 11. 27.
피그마 사진 잘라내기 / Figma 사진 잘라내기 이번 글에서는 피그마로 사진을 잘라내는 방법에 대해서만 간단히 다룬다. 사진을 불러온다. 프레임을 생성한다. 자르는 영역이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된 상황에서,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프레임으로 옮겨주면 된다. 이미지는 본래 크기만큼 자리하지만, 프레임으로 인해 프레임 크기만큼 담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대로 Frame을 누르고 Export 하면 저장된다. 2022. 11. 23.
피그마 여백 생성 / Figma 여백 생성 이번 글에서는 이미지의 여백 생성 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간단히 다룬다. 이미지를 불러온다. 불러온 이미지를 클릭한 채, Shift + A 를 누르면 Auto Layout이 형성된다. 자동으로 프레임이 이미지를 감싸는 구조가 만들어진 것 이다. 오른쪽 탭에 Auto layout영역이 있다. 여기서 상하좌우 여백을 10에서 50으로 수정할 수 있다. 짠. 이러고 작업중인 현황을 다시 보면 이미지 바깥을 감싸는 프레임과 이미지 사이의 여백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이제 Frame을 클릭하고 Export 해줘서 저장해주면 된다. 끄읕 2022. 11. 23.
Figma 흑백필터 / 피그마 흑백필터 간단하게 피그마로 흑백필터를 넣는 방법만을 글로 다룬다. 우선 좌상단 탭에서 이미지 첨부를 클릭한다 이미지를 놓고, 오른쪽 탭에 Fill 항목에 이미지 부분을 클릭하면, 이렇게 필터기능이 있다. Saturation을 낮춰주면 된다. 그리고 오른쪽 탭의 Export에서 Export unnamed 1 클릭하면 저장된다. 끄읏 2022.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