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31 [CISCO Networking] 루핑(Looping)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 이번 글에서는 루핑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루핑을 해결하기 위해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이 도입되었습니다. 둘을 알고 가기 전에 우선 간단히 네트워크 용어 두개를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 폴트 톨러런트 (Fault tolerant) 폴트 톨러런트란 네트워크 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피시방의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라우터가 고장나게 되면 모든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라우터를 미리 두 대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한 대가 죽었을 때 자동으로 다른 라우터가 기존의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렇듯 폴트 톨러런트란 대부분 이중 구조를 의미하고 전체 .. 2020. 9. 3. [CISCO Networking] 브리지와 스위치 허브의 한계를 극복해주는 두 장치가 있습니다. 브리지와 스위치입니다. 둘은 굉장히 긴밀한 관계인데, 브리지는 스위치의 원조격으로써 스위치의 모든 기능은 브리지로부터 출발합니다. 스위치가 나중에 나온 만큼 더 빠른 성능이기 때문에, 브리지는 그역할로써의 자리를 스위치에게 물려주고 사라져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브리지가 스위치의 원조격인만큼 스위치를 이해하기 위해선 브리지를 먼저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브리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특성은 바로 스위치의 특성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브리지 허브의 한계는 말씀드렸다시피 허브의 연결된 PC들 중 두 PC만 통신을 하게 되면 그 순간에는 다른 PC의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이더넷의 CSMA/CD 때문) 그 이유가 바로 콜리전 도메인이 같기 때문인 것이구요. 따라서 브.. 2020. 9. 1. [CISCO Networking] 허브 허브 ∙ 허브는 네트워크 구성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 허브는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이 구멍의 개수만큼 장비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몇 포트 허브라고 칭합니다. ∙ 허브는 연결된 모든 피시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시말해 랜카드가 설치된 PC들을 허브에 연결하면다면, 이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PC들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이렇게만 연결하면 외부인터넷으로는 나가진 못합니다.) ∙ 허브 역시 랜카드처럼 이더넷용, 토큰링용으로 나눌 수 있고 또한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와(10Mbps) 패스트 허브(100Mbps)가 존재합니다. 랜카드와 케이블에 맞는 허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허브는 허브끼리 연결하며 더욱 많은 포트와 통신 범위를 가진 .. 2020. 9. 1. [CISCO Networking] 랜카드 ▶︎ 랜카드 = NIC (Network Interface Card) 랜카드는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어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그리고 FDDI, ATM용 등으로 구분합니다. -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탑용 랜카드와, 노트북용 랜카드 (PCMCIA 방식),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는 외장형 랜카드,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의 랜카드가 있습니다. - 버스(데이터가 날아다니는 길) 방식에 따라 PCI 방식, ISA 방식, EISA 방식으로 나뉘므로, 자신의 PC의 버스 방식에 맞는 것을 설치해야 합니다. - 랜카드에 접속하는 케이블의 종류에.. 2020. 8. 31.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