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시스코 네트워킹]27 [CISCO Networking] DHCP 서버 알고 가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히 메모합니다. DHCP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PC 들에게 IP주소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DHCP가 IP를 모두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PC들이 켜지게 되면서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로 IP 주소에 대한 요청을 하게 되고 DHCP 서버는 가지고 있던 IP 주소 중 하나를 PC에게 빌려주게 됩니다. 빌려준다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다 쓰고 난 뒤에는 다시 회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아예 PC 마다 IP 주소를 일전부터 지정해 주는게 아니라, 필요할 때 마다 그때 그때 부여해줬다가 다시 회수해가는 방식입니다. 이런 DHCP 서버 기능은 보통 라우터가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별도의 서버에 DHCP 서비스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라우터.. 2020. 8. 31. [CISCO Networking] 인터넷 공용어, TCP/IP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입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두 사람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면 통신이 불가능해집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사이에서도 통신을 위해선 약속이 필요한데, 이런 통신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프로토콜은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오늘 설명드릴 TCP/IP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터넷에서의 공용어가 TCP/IP인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PC에는 프로토콜이 세팅되어있고, 이 프로토콜을 삭제하게 되면 인터넷을 넘어선 통신을 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죠. 다시 말하자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TCP/IP 라는 것입니다! 출처 - '후니의 쉽게 쓴 네트워킹' 2020. 8. 28. [CISCO Networking] OSI 7 계층 통신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단계로 나눠서 설명했다. 초기에 네트워크 장치들끼리의 통신에 대한 호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많았기 때문에 ISO에서 OSI 7 계층이라는 네트워크 통신 과정의 표준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이렇게 구분하자는 제안을 한 겁니다. ●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Phys.. 2020. 8. 28. [CISCO Networking]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는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가 있다. ▶︎ 유니캐스트 (Unicast)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을 가지고 통신하는 방식 ex) 어떤 PC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뿌리게 되면, 어차피 로컬 이더넷의 기본 성격이 붙어있는 모든 PC들에게 정보를 뿌리는 Shared 방식이기 때문에, 그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들은 일단 이 프레임을 받아들여서 랜카드에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하게 됩니다.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 맥 어드레스가 다를 경우 프레임을 바로 버리고, 목적지 주소가 나일경우 이 프레임을 CPU로 올립니다. ps. 로컬 이더넷의 기본 성격이 Shared 방식이므로, 일단 로컬 네트워크 상의 모든 PC들에게 프레임을 뿌리게 되나, 목적지 비교 .. 2020. 8. 28.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