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hacking.kr] 1번 (쿠키, 세션 설명) 고등학생 때 웹해킹 워게임을 조금 했던 기억이 있다.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해킹공부를 아예 안한 것 같아서, 까먹은 것도 많고 무뎌진 것도 많을 것 같아서 웹해킹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문제들을 풀어나갈 계획이다. 웹해킹 워게임 사이트는 굉장히 다양한데, 그 중 Webhacking.kr 이 난이도도 꽤 있고 공부하기에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이곳에 다시 접속해봤다. 고등학생 때 쓰던 계정이 이미 있긴 한데 문제들이 어려워서 점수도 950점밖에 없고, 이 시절에 풀었던 문제들도 이제는 못 풀 실력이 되어버려서 아예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 원래 갖고 있던 지식들도 별로 없긴 했지만, 그마저도 다 잊어버린 상태라 아예 웹을 처음 공부한다고 해도 무방한 상태일 것 같아서 걱정이 가득하지만 열심히 풀어보며 공부하려고 .. 2020. 8. 31. [BaekJoon/백준] 4단계 "while문" 이에 해당하는 문제는 10952번, 10951번, 1110번으로 총 세문제다. 10951번이 10952번보다 더 나중 순서로 문제가 등록되어있는데, 그 이유를 곧 뼈저리게 느꼈다. 10951번에서 어리버리 타다가 시간을 엄청 뺏겼다. 정답률도 왜 낮은지 알겠더라.. 이번 글에서는 10951번만 다루고자 한다. 아무것도 생각안하고 10951번을 풀다가는 정말 영문을 모르고 틀렸다는 문구만 내내 받을 수 있다. 해당 문제의 설명에는 EOF에 대해 알아보라는 말이 있다. 나는 이걸 읽긴 했는데도, 입력에 대한 프로그램의 흐름을 생각을 1도 안했는지, 아니면 그냥 아무생각이 없었던건지 여튼 굉장히 틀려대다가 겨우 맞췄다. 짜증이 나서 C/C++두 가지 경우로 모두 풀어봤다. ▶︎ C++ #include usin.. 2020. 8. 31. [CISCO Networking] 랜카드 ▶︎ 랜카드 = NIC (Network Interface Card) 랜카드는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어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그리고 FDDI, ATM용 등으로 구분합니다. -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탑용 랜카드와, 노트북용 랜카드 (PCMCIA 방식),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는 외장형 랜카드,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의 랜카드가 있습니다. - 버스(데이터가 날아다니는 길) 방식에 따라 PCI 방식, ISA 방식, EISA 방식으로 나뉘므로, 자신의 PC의 버스 방식에 맞는 것을 설치해야 합니다. - 랜카드에 접속하는 케이블의 종류에.. 2020. 8. 31. [CISCO Networking] DHCP 서버 알고 가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히 메모합니다. DHCP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PC 들에게 IP주소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DHCP가 IP를 모두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PC들이 켜지게 되면서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로 IP 주소에 대한 요청을 하게 되고 DHCP 서버는 가지고 있던 IP 주소 중 하나를 PC에게 빌려주게 됩니다. 빌려준다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다 쓰고 난 뒤에는 다시 회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아예 PC 마다 IP 주소를 일전부터 지정해 주는게 아니라, 필요할 때 마다 그때 그때 부여해줬다가 다시 회수해가는 방식입니다. 이런 DHCP 서버 기능은 보통 라우터가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별도의 서버에 DHCP 서비스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라우터.. 2020. 8. 31. 이전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