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것들]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소켓

by Hevton 2022. 11. 16.
반응형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소켓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ocket io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간단하다.

 

 


"웹 페이지의 한계에서 벗어나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웹 서비스를 만드는 표준 기술인 WebSocket.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실시간 웹 기술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Socket.io"

https://d2.naver.com/helloworld/1336

 

상호작용하는 웹 서비스를 위해 숨겨진 프레임(Hidden Frame)을 이용한 방법이나 Long Polling, Stream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브라우저가 HTTP 요청를 보내고 웹 서버가 이 요청에 대한 HTTP 응답를 보내는 단방향 메세지 교환 '규칙'을 변경하지 않고 구현한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호작용하는 웹 페이지를 복잡하고 어려운 코드로 구현해야 했다. 

 

보다 쉽게 상호작용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려면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더 자유로운 양방향 메시지 송수신(bi-directional full-duplex communication)이 필요하다. 그래서 HTML5 표준안의 일부로 WebSocket API(이후 WebSocket)가 등장했다.

 

WebSocket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소켓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기존의 요청-응답 관계 방식보다 더 쉽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반응형

'[알아두면 좋을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mary key VS Unique key  (0) 2022.11.23
무중단 배포  (0) 2022.11.20
서버 내에서의 이미지 캐싱 방법  (0) 2022.11.16
GitHub 커밋 컨벤션  (0) 2022.11.15
Global Cache vs Local Cache 간단정리  (0) 20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