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panning Tree Protocol = STP)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토콜.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루핑을 막기 위한 작업 ( 두 경로 중 한 경로를 끊음 )
스패닝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한 개념
1. Bridge ID
말그대로 브리지의 아이디.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스위치에서도 브리지ID라고 부름.
구성은 8바이트(64비트)이며, 2바이트(16비트)는 Bridge Priority 값 나머지 6바이트(48비트) 는 해당 장치의 맥주소.
Bridge Priority는 디폴트로 2의 16승의 중간값인 32768을 사용. 즉 아무런 구성 없는 스위치/브리지의 Bridge Priority는 32768.
2. Path Cost
하나의 스위치/브리지에서 다른 스위치/브리지로 가는데 드는 비용. 링크의 속도(대역폭=ex 10Mbps)이 빠를수록 Path Cost의 값이 작다.
대역폭 | Path Cost |
4Mbps | 250 |
10Mbps | 100 |
16Mbps | 62 |
45Mbps | 39 |
100Mbps | 19 |
155Mbps | 14 |
622Mbps | 6 |
1Gbps | 4 |
10Gbps | 2 |
출처 -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반응형
'[네트워크] > [시스코 네트워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Networking] 스위치/브리지 포트의 5가지 상태변화 (0) | 2020.09.18 |
---|---|
[CISCO Networking] STP의 세가지 동작 (0) | 2020.09.17 |
[CISCO Networking] 서브넷 예제 문제 풀이 (0) | 2020.09.15 |
[CISCO Networking] 서브넷 마스크 (0) | 2020.09.11 |
[CISCO Networking] 라우터, 스위치, 허브의 IP 주소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