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것들]

DAO vs DTO

by Hevton 2022. 11. 10.
반응형

 

DAO

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 

 

 

DTO

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한 객체. 로직을 거치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

 

 

 

 

유저가 입력한 데이터를 DB에 넣는 과정

1. 유저가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여 form에 있는 데이터를 DTO에 넣어서 전송한다.

2. 해당 DTO를 받은 서버가 DAO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집어넣는다.

 

 

 

 

참고

https://melonicedlatte.com/2021/07/24/231500.html

https://velog.io/@ohzzi/Entity-DAO-DTO%EA%B0%80-%EB%AC%B4%EC%97%87%EC%9D%B4%EB%A9%B0-%EC%99%9C-%EC%82%AC%EC%9A%A9%ED%95%A0%EA%B9%8C

 

반응형

'[알아두면 좋을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커밋 컨벤션  (0) 2022.11.15
Global Cache vs Local Cache 간단정리  (0) 2022.11.10
B2C vs B2B vs B2E vs B2G  (0) 2022.11.09
NGINX란?  (0) 2022.11.06
Getter Setter 왜 사용하는 걸까?  (0) 2022.11.06